진(秦)

공유
시대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6년
유물 갯수
587개 유물
3D유물
필터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 조회 수
    182
    코멘트
    15
    좋아요
    38
    다이닝 룸 인테리어 모델링 다운로드
    픽셀252 스튜디오 pixel252
    • 34Uploads
    • 56Downloads
    • 72Likes
    • 84Follower
    • 42Following

조선(朝鮮, 중세 한국어: 됴션, 문화어: 리조조선, 리씨조선, 약칭: 리조[3], 1392년~1897년)은 유학을 통치 이념 삼아 한반도를 505년 간 다스렸던 왕조이다. 고려 말 신진 사대부의 지지를 등에 업어 무관 이성계가 건국하였고, 고종이 선포한 대한제국으로 계승되었다.

추존된 임금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고려왕조의 신흥 무인세력이었던 이성계는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군사정변을 일으켰다. 그는 창왕·공양왕을 제멋대로 왕위에 올렸다가 신돈의 사생아라고 사건을 조작하여 폐위하는 등 정권·군권·경제권을 쥐고 흔들었고, 전제 개혁을 단행했다. 1392년 음력 7월 17일에는 공양왕이 왕대비에게 준 옥새를 이성계가 받아들어 주변 측근들의 추대로 왕위에 오르면서 조선왕조는 막을 올린다.[4] 1393년 2월 15일에는 국호를 '조선'으로 정하였고,[5] 1394년에는 한양을 도읍으로 하여[6] '재상 중심 정치'를 꿈꾸던 정도전을 중심으로 고려의 기존 제도를 아주 딴판으로 뜯어고쳤다.

형 정종을 꼭두각시로 세웠다가 곧 왕권을 양위받은 태조의 아들 태종 이방원은 특권층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 사병들을 강제 해산, 조선군에 편입하고 호패법을 실시하는 등 왕권을 대폭 강화하였고, 정도전을 암살한 뒤 관료 제도를 재상 중심 의정부서사제에서 임금 중심인 육조직계제로 개편하였다. 세종대왕은 1443년 집현전을 궁내에 설치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장영실을 등용하여 아들 문종과 함께 과학 발전에도 힘썼으며,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등 애민정치를 펼쳤다. 조카 단종을 계유정난으로 몰아낸 세조는 정통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세력을 제거한 뒤 태종처럼 육조직계제를 채택, 왕권을 강화하였고, 《동국통감》, 《국조보감》 등을 짓기도 했다. 단명한 예종에 뒤이어 즉위한 성종은 치국의 근본이 되는 《경국대전》을 편찬하는 등 문물 제도를 정비했다.

15세기 말부터 지방의 사림 세력이 정계에 등장하고 기존 대신인 훈구와 대립하면서 정치는 혼란해졌다. 사림과 훈구를 모두 배척하고 독단적으로 정치를 한 연산군을 중종반정으로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은 조광조를 중용하는 등 사림 공신에게 휘둘리지 않으려 애를 썼으나, 이렇다 할 치적을 남기지는 못했다. 인종과 명종 역시 사림과 훈구의 공방 속에서 요절했다. 선조 대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훈구파가 정계에서 물러나고 사림파가 정계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후 사림이 붕당을 형성하여 대립각을 세우면서 조선 정치의 꽃 붕당정치가 탄생한다.

조선(朝鮮, 중세 한국어: 됴션, 문화어: 리조조선, 리씨조선, 약칭: 리조[3], 1392년~1897년)은 유학을 통치 이념 삼아 한반도를 505년 간 다스렸던 왕조이다. 고려 말 신진 사대부의 지지를 등에 업어 무관 이성계가 건국하였고, 고종이 선포한 대한제국으로 계승되었다.

추존된 임금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고려왕조의 신흥 무인세력이었던 이성계는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군사정변을 일으켰다. 그는 창왕·공양왕을 제멋대로 왕위에 올렸다가 신돈의 사생아라고 사건을 조작하여 폐위하는 등 정권·군권·경제권을 쥐고 흔들었고, 전제 개혁을 단행했다. 1392년 음력 7월 17일에는 공양왕이 왕대비에게 준 옥새를 이성계가 받아들어 주변 측근들의 추대로 왕위에 오르면서 조선왕조는 막을 올린다.[4] 1393년 2월 15일에는 국호를 '조선'으로 정하였고,[5] 1394년에는 한양을 도읍으로 하여[6] '재상 중심 정치'를 꿈꾸던 정도전을 중심으로 고려의 기존 제도를 아주 딴판으로 뜯어고쳤다.

형 정종을 꼭두각시로 세웠다가 곧 왕권을 양위받은 태조의 아들 태종 이방원은 특권층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 사병들을 강제 해산, 조선군에 편입하고 호패법을 실시하는 등 왕권을 대폭 강화하였고, 정도전을 암살한 뒤 관료 제도를 재상 중심 의정부서사제에서 임금 중심인 육조직계제로 개편하였다. 세종대왕은 1443년 집현전을 궁내에 설치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장영실을 등용하여 아들 문종과 함께 과학 발전에도 힘썼으며,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등 애민정치를 펼쳤다. 조카 단종을 계유정난으로 몰아낸 세조는 정통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세력을 제거한 뒤 태종처럼 육조직계제를 채택, 왕권을 강화하였고, 《동국통감》, 《국조보감》 등을 짓기도 했다. 단명한 예종에 뒤이어 즉위한 성종은 치국의 근본이 되는 《경국대전》을 편찬하는 등 문물 제도를 정비했다.

15세기 말부터 지방의 사림 세력이 정계에 등장하고 기존 대신인 훈구와 대립하면서 정치는 혼란해졌다. 사림과 훈구를 모두 배척하고 독단적으로 정치를 한 연산군을 중종반정으로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은 조광조를 중용하는 등 사림 공신에게 휘둘리지 않으려 애를 썼으나, 이렇다 할 치적을 남기지는 못했다. 인종과 명종 역시 사림과 훈구의 공방 속에서 요절했다. 선조 대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훈구파가 정계에서 물러나고 사림파가 정계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후 사림이 붕당을 형성하여 대립각을 세우면서 조선 정치의 꽃 붕당정치가 탄생한다.

중국 연대기
  • 신화 - 진의 통일 이전
    • 선사 시대
    • 황하·장강 문명 (기원전 4800?~기원전 3500?)
    • 신화·삼황오제 (기원전 4000?~기원전 2070?)
    • 하 (기원전 2070?~기원전 1600?)
    • 상 (기원전 1600?~기원전 1046?)
    • 주 (기원전 1046?~기원전 256)
      • 서주 (기원전 1046?~기원전 771)
      • 동주 (기원전 771~기원전 256)
        • 춘추 시대 (기원전 771~453)
        • 전국 시대 (기원전 453~221)
  • 고대 - 근대의 중국
    • 진(기원전 221~기원전 206)
    • 한(기원전 202~서기 220)
      • 전한 (기원전 202~서기 8)
      • 신 (8~23)
      • 후한 (25~220)
    • 삼국 시대(220~280)
      • 위 (220~265)
      • 촉한 (221~263)
      • 오 (229~280)
    • 진(265~420)
      • 서진(265~316)
      • 동진(317~420)
    • 오호 십육국 시대(304~439)
    • 남북조 시대(386~589)
    • 수(581~619)
    • 당(618~907)
    • 무주(690~705)
    • 오대십국시대(907~979)
    • 요(916~1125)
    • 서하(1038~1227)
    • 금(1115~1234)
    • 송(960~1279)
      • 북송(960~1127)
      • 남송(1127~1279)
    • 원(1271~1368)
    • 명(1368~1644)
    • 청(1616~1912)
  • 현대의 중국
    • 중화민국 [북양 정부, 국민정부] (1912~1949)
    • 만주국 (1931~1945)
    • 중화민국 [타이완] (1949~현재)
    • 중화인민공화국 (1949~현재)
중국 연대기
  • 신화 - 진의 통일 이전
    • 선사 시대
    • 황하·장강 문명 (기원전 4800?~기원전 3500?)
    • 신화·삼황오제 (기원전 4000?~기원전 2070?)
    • 하 (기원전 2070?~기원전 1600?)
    • 상 (기원전 1600?~기원전 1046?)
    • 주 (기원전 1046?~기원전 256)
      • 서주 (기원전 1046?~기원전 771)
      • 동주 (기원전 771~기원전 256)
        • 춘추 시대 (기원전 771~453)
        • 전국 시대 (기원전 453~221)
  • 고대 - 근대의 중국
    • 진(기원전 221~기원전 206)
    • 한(기원전 202~서기 220)
      • 전한 (기원전 202~서기 8)
      • 신 (8~23)
      • 후한 (25~220)
    • 삼국 시대(220~280)
      • 위 (220~265)
      • 촉한 (221~263)
      • 오 (229~280)
    • 진(265~420)
      • 서진(265~316)
      • 동진(317~420)
    • 오호 십육국 시대(304~439)
    • 남북조 시대(386~589)
    • 수(581~619)
    • 당(618~907)
    • 무주(690~705)
    • 오대십국시대(907~979)
    • 요(916~1125)
    • 서하(1038~1227)
    • 금(1115~1234)
    • 송(960~1279)
      • 북송(960~1127)
      • 남송(1127~1279)
    • 원(1271~1368)
    • 명(1368~1644)
    • 청(1616~1912)
  • 현대의 중국
    • 중화민국 [북양 정부, 국민정부] (1912~1949)
    • 만주국 (1931~1945)
    • 중화민국 [타이완] (1949~현재)
    • 중화인민공화국 (1949~현재)